본문 바로가기
각종 정보들/일상생활

거북목 증후군 치료하는 법

by 에브리슈 2023. 6. 16.
반응형

거북목 증후군이란 컴퓨터 화면, 책, 핸드폰 등을 자신의 시선보다 아래에 두고 작업을 하게 되어 고개를 거북이 또는 자라 처럼 앞으로 쭈욱 편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여 굳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의 목뼈는 원래 위의 엑스레이 사진처럼 뒤로 굽은 C 자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습니다. C커브라고 불리며 시중에 C커브를 만들어준다는 수많은 일자목 베개들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목뼈가 건강한 사람은 항상 저 C커브를 유지해서 몸에서 가장 무거운 부분인 바로 사람의 머리를 받치고 있는데요. 목뼈가 일자로 서있다고 생각해보면 이 무거운 머리를 바치고 있는 자체가 뼈에 상당한 무리가 가게 됩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뼈사이의 디스크들이 찢기고 돌출되겠지요. 그래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머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탄력이 있는 스프링모양인 C커브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대인들이 핸드폰, 컴퓨터 등을 장시간 목을 앞으로 쭉 빼고 보게 되면서 뒤로 굳어 있는 뼈가 점점 일자로 서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이 심해지면 역C커브 모양을 취하는 거북목이 되버립니다.

 

그래서 거북목 증후군을 일자목 증후군이라고도 부릅니다.

거북목 증후군으로 변형된 뼈로 인해 몸에는 다양한 증상들이 생깁니다.

 

일단 당연하게도 목 통증이 시작되지요.

 

또한 어깨 통증이 동반됩니다.

 

우리의 근육은 머리가 제자리에 똑바로 있을 때 알맞도록 생성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머리가 앞으로 쭉 빠진채로 유지된다면 목과 어깨의 근육들은 어떻게 될까요?

 

무리하게 잡아당겨지게 됩니다.

 

잡아당겨지게 된다는 것은 하중이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죠.

 

머리가 앞으로 툭 떨어져서 앞으로 고꾸라지지 않도록 우리의 목근육과 어깨근육은 최선을 다해서 머리를 잡아 당기고 있을 겁니다.

 

그럼 당연히 목과 어깨 근육통이 찾아옵니다. 항상 어깨가 무겁고 결리게 되죠.

 

그러면서 만성피로도 유발할 수 있겠죠.

 

또한 우리의 두피도 근육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이런 근육통은 두피의 근육통으로 이어질 수 있고 그러면 심각한 두통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스피린 등을 먹어도 해결이 되지 않는데요.

 

근육통을 두통으로 착각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치우친 목뼈는 우리의 신경을 누르게 됩니다.

 

그러면서 나오는 대표적인 증상은 손끝 저림과 안구피로감 등을 예로 들수 있습니다.

 

그리고 심한 경우에는 어지럼증과 멀미 증상으로 구토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이러한 거북목 증후군은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단순하지만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자세를 고쳐야 합니다.

 

단기간에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일시적인 방편입니다.

 

꾸준히 병원에 다니면서 도수치료를 병행하면서 올바른 자세를 평소에도 유지할 수 있는 습관과 근력을 길러야 합니다.

 

도수치료는 통증을 가라앉히는 역할도 하지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근력을 길러주는 훈련이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내가 항상 나의 자세를 인식하려고 애쓰고 고치려고 애쓴다면 충분히 올바른 자세로 돌아와서 교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